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미국 코로나 치료제 주식_셀트리온이 치료제 분야에서 앞서간다?! 미국은?

# 종목 추천이 아니며,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코로나 치료제 관련 미국 주식 종목

 

최근 전세계 코로나19 백신의 접종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백신과 함께 관심을 받는 것이 바로 치료제입니다.

백신은 예방의 효과가 있으나 100% 예방을 보증하지 않으므로 전세계 모든 인구가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치료제의 필요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는 셀트리온이 코로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3상과 관련된 발표가 이어지며 코로나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다시한번 모아지고 있습니다.

 

셀트리온 임상 3상 기사 헤드라인 (출처 : 조선비즈)

 

그렇다면, 미국에는 어떤 기업들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을까요?

 

미국 코로나 치료제관련 종목

 

미국에서 코로나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은 크게 3가지를 언급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어떤 기업이 있으며, 각 기업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치료제 개발 상황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치료제 이미지 (출처 : Pixabay)

 

리제레논(REGN)

REGN(리제네론) 로고

리제네론은 1988년 창립된 미국 생명 공학 기업입니다.

리제네론이 개발 중인 코로나 치료제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기 전에 리제네론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2021년 1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리제네론의 핵심 브랜드는 총 3가지로 분류됩니다.

아일리아, 듀피젠트(Dupixent), 리프타요(Libtayo) 입니다.

각 약품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리제네론(REGN) 핵심브랜드

  • 아일리아(Eylea) : 황반변성 치료제. 최근 특허만료를 앞두고 있으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듀피젠트(Dupixent) : 두필루맙이라고도 불림. 아토피, 천식과 같은 중증 알레르기성 질환의 증세를 조설하는 약물.
  • 리브타요(Libtayo) : 면역항함제. 2021년 2월 미국식품의약국(FDA)로부터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승인 완료. 유럽시장 진출 시도 중

2021년 Q1 매출 구조

위의 매출 구조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일리아입니다.

현재 코로나 치료제로 개발되는 브랜드의 이름은 REGEN-COV로 현재 3상 단계까지 진행이 되어 있습니다.

최근 6월 5일 미국식품의약국 (FDA)가 리제네론의 치료제를 피하주사 방식으로 투약하는 것을 허가하였습니다.

또한 2분기에는 100만회 분량의 치료제를 미국 정부에 납품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리제네론은 더 나아가 치료제 뿐만 아니라 코로나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FDA에 추가 승인 요청을 할 것으로 보여지는 상황입니다.

 

아직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치료제 검증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리제네론 3상 관련 내용 (출처 : 리제네론 사이트)

일라이릴리(LLY)

LLY(일라이릴리) 로고

일라이릴리는 1876년 창립한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진 제약회사입니다.

아래는 일라이릴리가 발표한 2021년 1분기 실적 자료에 포함된 차트입니다.

이 중 마켓 리더로 손꼽히는 제품은 트루리시티(Trulicity), 자디앙(Jardiance), 탈츠(Taltz)가 있습니다.

 

일라이릴리 제품별 매출 (출처 : 일라이릴리 사이트)

 

  • 트루디시티(Trulicity) : 당뇨환자가 혈당을 낮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물. 매출에서 가장 많은 비중 차지
  • 자디앙(Jardiance) : 당뇨환자의 혈당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제. 알약으로 복용된다.
  • 탈츠(Taltz) : 건선치료제. 건선성 관절염의 2차 치료제로도 이용.

일라이릴리 승인자료 (출처 : 일라이릴리)

현재 밤라니비맙(Bamlavivimab)과 에테세비맙(Etesevimab)은 긴급 사용 승인을 받은 상황입니다.

바리시티닙(Baricitinib)의 경우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되던 약품이었으나 현재 코로나 치료제로 사용되는 상황입니다.

일라이릴리는 코로나 치료제 이외에도 알츠하이머 치료제도 개발 중이므로 알츠하이머 치료제 관련 종목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일라이릴리도 살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 로고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미국에서 3번째로 코로나 치료제 3상 승인을 받은 기업입니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매출은 HIV(에이즈) 부문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도바토 (출처 : GSK 코리아)

이외에도 다양한 부문에서 사용되는 제약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비어 바이오테크놀러지와 코로나 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름은 소트로비맙입니다.

FDA의 긴급사용 승인은 지난 5월 27일 발표되었습니다.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에서 집중해야할 소식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생산 계약을 체결하였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셀트리온의 치료제를 제외하고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게될 치료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한가지 중요한 것은,

확인해야할 중요한 포인트는 어떤 기업이 가장 먼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검증을 완료할 것인가 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 검증이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셀트리온, 리제네론, 일라이릴리, GSK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기업이 먼저 성과를 발표할 수 있을까요?